식빵의 종류 및 모양과 재료에 따른 구분 방법

 


식빵이란?

식빵의 주재료는 밀가루이며 길고 좁은 직사각형 틀에 구운 식사용 빵을 말합니다. 통밀, 호밀, 잡곡 등의 다양한 재료를 첨가해 만들기도 합니다. 단단한 가장자리(크러스트)와 부드러운 속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어로는 샌드위치로프 (sandwich loaf), 풀만로프 (pullman loaf), 팬브레드 (pan bread) 등으로 부르며 프랑스어로는 팽드미 (pain de mie)라고 부릅니다. 최근에는 통밀식빵, 호밀식빵 외에도 쌀, 현미, 귀리 등을 넣은 잡곡식빵, 건과일, 유제품, 견과류 등등 각종 재료를 넣은 식빵의 등장으로 소비자들의 선택지가 다양해졌습니다.


식빵 모양에 따른 구분 방법

식빵의 모양에 따라서 큐브식빵, 오픈탑식빵, 풀만식빵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큐브식빵 (cube bread)은 식빵의 미니어처 형태로 정확한 정육면체의 모양의 폴만 형태와 오픈탑 형태, 두 가지 스타일이 있습니다. 

오픈탑식빵 (open top bread)은 영국식 식빵으로 알려져 있으며 덮개 없이 구워 빵이 부푸는 그대로 모양이 나온다. 빵의 윗면이 둥글게 솟아 있으며 먹음직스러운 갈색을 띤다. 하나의 틀에 2 ~ 3개의 반죽 덩어리를 넣고 구워 올록볼록한 모양이 되는 형태와 한 덩어리를 통으로 구운 원로프 (one loaf) 형태가 있으며,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부풀어서 가볍고 부드럽습니다.

풀만식빵 (pullman bread)은 미국식 식빵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빵 틀에 덮개를 덮어 빵이 위로 부푸는 것을 막아서 사각형 모양의 식빵이 나옵니다. 오픈탑식빵은 빵이 구워지는 모습을 볼 수 있는 반면, 풀만식빵은 사방이 막혀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반죽 양이 정확하지 않으면 꽉 찬 사각형이 만들어지지 않거나, 드물게는 반죽이 빵 틀을 비집고 나오기도 합니다. 뚜껑을 덮어 누른 채로 굽기 때문에 오픈탑식빵보다 더 촘촘하며 쫄깃합니다.


재료에 따른 구분 방법

식빵의 재료에 따라서 린식빵, 리치식빵, 호밀식빵, 통밀식빵, 데니시식빵이 있습니다. 

린식빵 (lean bread)은 당류나 유제품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물, 밀가루, 이스트를 기본으로 만든 식빵입니다.

리치식빵 (rich bread)은 린 식빵과 반대로 당류와 유제품을 많이 사용한 식빵으로 고소한 유제품의 향이 두드러지고 맛 또한 진합니다.

호밀식빵 (rye bread)은 100% 호밀로 만들거나 적은 양의 밀가루를 섞어서 만듭니다. 일반 식빵보다 결이 촘촘하고 전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을 띕니다. 보통 캐러웨이씨(caraway seed)라는 향신료를 넣어서 특유의 향극함이 있으며 맛은 약간 시큼합니다.

통밀식빵 (whole wheat bread)은 통밀을 갈아 만든 100% 통밀 가루만을 사용하여 만든 식빵으로, 전통적으로 빵의 윗면에 통밀 부스러기를 뿌리고 굽습니다.

데니시식빵 (danish bread)은 덴마트에서 전통적으로 만들어온 식빵입니다. 페이스트리의 형태이며 마치 크루아상처럼 빵의 결이 겹겹이 살아 있으며, 버터의 함유량과 열량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다음 이전